Error loading page.
Try refreshing the page. If that doesn't work, there may be a network issue, and you can use our self test page to see what's preventing the page from loading.
Learn more about possible network issues or contact support for more help.

탈출기

ebook

1925년 3월 『조선문단』에 발표된 최서해의 단편소설.

자전적 요소가 강한 소설로 체험 문학의 걸작으로 꼽히는 작품이다. 동양적 윤리관으로 볼 때 절대적인 것으로 치부되는 가족에 대한 애정과 인간적 의리라는 덕목을 저버리고 집을 나온 주인공 '박군'이, 독립단이 될 수밖에 없었던 과정을 '김군'에게 고백하는 편지 형식의 소설이다. 박군이 사회적 심리적 조건을 들어 자기 행동의 정당성을 변명하는 것이 편지의 주 내용을 이루고 있다. 박군은 부지런히 일했지만 먹고 살 수가 없어 간도로 이주한다. 그러나 그곳도 기대했던 이상적 사회와는 거리가 멀다. 땅을 얻어 농사를 지으려 해도 땅을 얻을 수 없고, 직장을 구하려 해도 일할 직장이 없는 현실에서, 그가 할 수 있는 일이라고는 나무를 해다 팔거나 아니면 두부를 만들어 파는 일뿐이다. 그러나 그것으로는 가족을 제대로 먹여 살릴 수가 없었고, 자신의 무능 때문에 불행과 고통을 겪는 어머니와 아내의 비참한 삶 앞에서 박군은 어쩔 줄을 모른다.

그 과정에서 그는, 부지런한 자에게 복이 온다는 말은 거짓말에 불과하며, 지금의 고통이 한 개인의 삶에 대한 충실성과는 무관하게 험악한 사회 제도 그 자체로부터 말미암은 것임을 깨닫게 된다. 드디어 주인공은 그러한 사회 제도의 변혁이 우선이라는 판단에서 노모와 처자를 버리고 집을 떠나 독립단에 가입하게 된다. 이 작품에서 주인공이 한 가정에서의 삶을 유기하고 독립단에 가담하는 행위는, 개인과 사회의 관계를 새롭게 인식한 데서 나온 결단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결단은, 당대의 조선인이 겪어야 했던 극단적인 생활고가 개인에게서가 아니라 사회의 모순에서 기인하는 것이라는 깨달음에서 비롯되는 것이다. 말하자면, 민족과 사회에서 유리된 개인의 자기 실현과 생존이란 불가능하다고 보고, 당대인들과의 넓은 연대감을 통해 역사와 사회 속에 자리잡고 있어야 하는 자아를 새롭게 인식한 깨달음이라 하겠다. 따라서「탈출기」는, 생활에 대한 과거의 노예적 순응의 태도에서 탈피한 주인공이 핍진한 체험을 통하여 근대 정신을 이해하게 되고,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한 개인의 책임 의식이 민족 해방의 세계에로 확대되어 나가는 과정을 설득력 있게 해명하고 있는 작품으로 평가할 수 있다.


Expand title description text
Series: 한국문학30선 Publisher: ㈜아이웰콘텐츠

OverDrive Read

  • ISBN: 9791155570333
  • Release date: August 22, 2014

EPUB ebook

  • ISBN: 9791155570333
  • File size: 81 KB
  • Release date: August 22, 2014

Formats

OverDrive Read
EPUB ebook

Languages

Korean

1925년 3월 『조선문단』에 발표된 최서해의 단편소설.

자전적 요소가 강한 소설로 체험 문학의 걸작으로 꼽히는 작품이다. 동양적 윤리관으로 볼 때 절대적인 것으로 치부되는 가족에 대한 애정과 인간적 의리라는 덕목을 저버리고 집을 나온 주인공 '박군'이, 독립단이 될 수밖에 없었던 과정을 '김군'에게 고백하는 편지 형식의 소설이다. 박군이 사회적 심리적 조건을 들어 자기 행동의 정당성을 변명하는 것이 편지의 주 내용을 이루고 있다. 박군은 부지런히 일했지만 먹고 살 수가 없어 간도로 이주한다. 그러나 그곳도 기대했던 이상적 사회와는 거리가 멀다. 땅을 얻어 농사를 지으려 해도 땅을 얻을 수 없고, 직장을 구하려 해도 일할 직장이 없는 현실에서, 그가 할 수 있는 일이라고는 나무를 해다 팔거나 아니면 두부를 만들어 파는 일뿐이다. 그러나 그것으로는 가족을 제대로 먹여 살릴 수가 없었고, 자신의 무능 때문에 불행과 고통을 겪는 어머니와 아내의 비참한 삶 앞에서 박군은 어쩔 줄을 모른다.

그 과정에서 그는, 부지런한 자에게 복이 온다는 말은 거짓말에 불과하며, 지금의 고통이 한 개인의 삶에 대한 충실성과는 무관하게 험악한 사회 제도 그 자체로부터 말미암은 것임을 깨닫게 된다. 드디어 주인공은 그러한 사회 제도의 변혁이 우선이라는 판단에서 노모와 처자를 버리고 집을 떠나 독립단에 가입하게 된다. 이 작품에서 주인공이 한 가정에서의 삶을 유기하고 독립단에 가담하는 행위는, 개인과 사회의 관계를 새롭게 인식한 데서 나온 결단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결단은, 당대의 조선인이 겪어야 했던 극단적인 생활고가 개인에게서가 아니라 사회의 모순에서 기인하는 것이라는 깨달음에서 비롯되는 것이다. 말하자면, 민족과 사회에서 유리된 개인의 자기 실현과 생존이란 불가능하다고 보고, 당대인들과의 넓은 연대감을 통해 역사와 사회 속에 자리잡고 있어야 하는 자아를 새롭게 인식한 깨달음이라 하겠다. 따라서「탈출기」는, 생활에 대한 과거의 노예적 순응의 태도에서 탈피한 주인공이 핍진한 체험을 통하여 근대 정신을 이해하게 되고,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한 개인의 책임 의식이 민족 해방의 세계에로 확대되어 나가는 과정을 설득력 있게 해명하고 있는 작품으로 평가할 수 있다.


Expand title description text